중소기업이 꼭~ 챙겨야 하는 지원혜택
- 케이렙En/세무사랑Pro
- 2017년 9월 7일
- 2분 분량
중소기업은 국가경쟁력의 근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금이나 인적자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대부분의 근로자가 중소기업에 재직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하여 중소기업의 육성 및 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세금지원 내용 요약
01.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세액감면
-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서 창업하거나 벤처기업 확인 받은 경우 5년간 법인세(소득세)의 50%를 감면
02.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 감면
- 제조업 등 소득에 대한 법인세(소득세)의 5~30%를 매년 납부할 세금에서 공제
03. 사업전환 지원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서 제조 등으로 사업전환하는 경우 4년간 법인세(소득세) 50% 감면
04. 설비투자 지원
- 사업용자산 및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 정보보호 시스템 설비 투자 금액의 3% 세액공제
-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에 대한 과세특례
05. 지방이전 지원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안의 본사와 공장이 함께 지방으로 이전 시 7년(5년)간 법인세(소득세)면제, 그 후 3년(2년)간 50% 감면
06. 최저한세 적용한도 우대
- 법인이 최소한 부담해야 하는 최저한세 적용기준을 일반 법인에 비해 3%~10% 포인트 우대
- 각종 감면적용 하기 전 과세표준x7%(일반법인 10%~17%)
- 중소기업 졸업 시 유예기간 이후 3년간 8%, 그 이후 2년간 9%
07. 수도권과밀억제권역안 투자에 대한 조세감면베제 제외
- 수도권과밀억제권역안 대체투자의 경우 각종 투자세액 공제 가능
08. 결손금 소급공제
- 직전사업연도에 납부한 세금 중 당해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만큼을 소급해서 환급적용가능
09. 접대비 인정한도 우대
- 접대비 인정한도(①+②)
① 기본금액: 2,400만 원(일반기업:1,200만 원)
② 수입금액x적용율
10. 구조조정 지원
- 중소기업간 통합 시 양도소득세 과세유예
11. 원천징수 방법 특례
- 상시 고용인원이 20인 이하인 사업자는 관할세무서장의 승인을 받아 반기(6개월)별로 원천징수 신고 및 납부 가능
12. 지방세 감면
- 저당권 설정 시 국민주택채권 매입의무 면제
13. 고용유지, 중대지원
StartFragment - 고용 유지 시 임금액의 50% 소득공제 - 고용증가인원의 사회보험료 증가분 50%~100% 세액공제 - 복직·경력단절여성 재고용 인건비의 10% 세액공제 - 정규직 전환 1인당 200만원 세액공재 EndFragment
14. 기술이전 및 취득지원
- 특허권, 실용신안권, 기술비법 등 이전 소득 50% 감면 및 취득비용의 7% 세액공제(산출세액의 10% 한도), 기술대여 소득 25% 감면
15. 상생결제제도 이용 지원
- 상생결제제도를 이용하여 중소기업에 지급하는 구매대금의 0.1% ~ 0.2%(지급기한별) 세액 공제
※ 자료 : 국세청
EndFragment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종합소득세 1. 노란우산공제, 연금 관련 공제 최대한 활용 2. 세금계산서 제대로 발급 받아야 3. 수입 규모가 크면 법인전환 고려
청년 채용 관련 지원금 청년 채용 관련 없는 지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