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권 관련 세무처리 방법이 궁금해요!
- 세무사랑
- 2016년 8월 12일
- 2분 분량
상품권은 일정한 금액이나 물품 또는 용역의 수량이 기재된 무기명 증표를 발행하고, 그 소지자가 발행자 또는 발행자가 지정하는 자에게 제시∙발급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증표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물품∙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유가증권이다. 이러한 상품권을 처리할 때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지 등 관련 내용을 궁금해 하는 사업자가 많아 짚어보고자 한다.
상품권 판매시 세금계산서 발급여부 및 공급시기 - 상품권을 판매하는 경우 상품권 자체를 재화로 보지 않으므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음.
- 해당 상품권 등에 의하여 현물과 교환하는 경우에는 재화가 실제로 인도되는 때를 공급시기로 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것임 (통칙 9-21-2)
상품권을 구입하여 판매하는 사업은 부가세 과세대상 아님
- 기타 금융업으로 해석(통계청 업종 해석임) (서삼 46015-11018, 2001.2.29.)
- 상품권은 재화가 아니므로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으며 상품권을 매입한자도 지출증빙 수취관련 가
세가 적용되지 않음 (서일 46011-10420, 2002.3.29.)
- 상품권 매매업과 판매대행업을 겸영하는 사업자가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고 세금계산서
를 발급받은 경우 상품권 판매대행업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공제하는 것이나 상품권 매매업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되지 않음 (부가-2066, 2008.7.17.)
상품권 구입시 세금계산서를 교부 받은 경우의 처리
- 상품권 구입과 관련하여 세금계산서를 교부받은 경우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할 수 없음 (서
면3팀-358, 2007.2.1.)
- 상품권을 매입하고 매입세금계산서를 수취하여 매입세액공제를 받은 경우, 경정시 세금계산서 발급 및 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의무가 없는 상품권 거래를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에 포함하여 신고∙납부하더라도 매
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가산세 부과대상은 아님(재부가-546, 2007.7.18.) 단, 이 경우 매입세액은 불공제 되고,
신고∙납부불성실가산세는 부과됨.
상품권 판매 대리의 경우 수수료 문제
- 용역의 제공으로 보아 사업서비스업으로 분류되며, 수수료 부분은 부가가치세가 과세됨
상품권을 거래처에 무상증여 시
- 상품권 구입자가 그 상품권을 자기 고객에게 무상으로 증여하는 경우 사업상 증여가 적용되지 않음 (서삼 46015-
10145, 2001.9.6.)
상품권∙할인쿠폰으로 대가를 받는 경우 과세표준
- 사업자(갑)가 액면금액 100원인 상품권을 을에게 90원에 판매한 후, 을에게 100원 상당의 재화를 공급하고 그
대가로 당해 상품권을 받는 경우 갑은 90원을 과세표준으로 세금계산서를 교부하여야 함 (제도46015-12650,
2001.8.10.)
- 대형할인점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고객에게 상품권을 할인 판매하거나 할인쿠폰을 일괄적으로 제공한 후, 해당 고
객에게 물품을 판매하고 그 대가의 일부를 상품권 또는 할인쿠폰으로 받음에 따라 공급가액의 일정액을 할인해 주
는 경우 동 할인액은 에누리액에 해당하여 과세표준에 포함하지 않음 (부가-21, 2011.1.5.)
예를 들어 상품권을 100만원 이상 구입시 1만원 할인 또는 1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덤으로 지급 시 1만원은 에누리
액으로 과세표준에 포함하지 않음.
- 백화점이 상품권을 일정금액 이상 구매고객에게 구매금액의 일정비율에 상당하는 가액의 상품권을 덤으로 지급하
는 경우 할인판매한 상품권을 대가로 받아 재화를 공급할 때마다 그 할인비율에 상당하는 금액을 공급가액에서 차
감함 (법규과-1002, 2012.9.4.)
김영란법 시행 시 상품권 선물 주의
9월부터 김영란법(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 공무원과 공기업직원, 교사, 기자
등에게 식사비 3만원, 선물 5만원, 경조사비 10만원 이상을 주고 받을 수 없다. 관련하여 상품권을 무상으로 증여
하였을 때 세법적으로 어떻게 처리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접대나 선물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상품권도 이
제 다소 도태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종합소득세 1. 노란우산공제, 연금 관련 공제 최대한 활용 2. 세금계산서 제대로 발급 받아야 3. 수입 규모가 크면 법인전환 고려
청년 채용 관련 지원금 청년 채용 관련 없는 지원금